카카오맵 매장관리의 기본 정의

카카오맵 매장관리의 기본 정의

앱에서 REST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etrofit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앱 Gradle에 다음을 추가합니다. 혹시 REST API가 뭔지 궁금하시다면. 구글에 검색해주세요 저도 자세히는 몰라요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면 먼저 검색 결과를 담을 클래스와 통신에 활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검색 시의 매개변수와, 검색 결과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합니다. 첫째 검색 결과를 담는 클래스다. ResultSearchKeyword.kt 라는 파일로 생성했다.

ResultSearchKeyword.kt 위 코드에서는 서버에서 받을 수 있는 정보를 모두 받아오게 해 놨다.


장소를 더 세밀히 알고 싶다면
장소를 더 세밀히 알고 싶다면

장소를 더 세밀히 알고 싶다면

3번째 사진을 보시면 제가 쓸어 높여서 장소 세밀히 보기라고 표시해뒀습니다. 말 그래도 손가락으로 쓰윽 쓸어 올려주시면 해당 장소에 관하여 너무 상세하게 나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이를 통해 목적지가 어떤 곳이고, 언제 영업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하단에는 평점 평점과 함께 블로그 포스트 리뷰까지 함께 달려있으니 굳이 인터넷을 또 켜서 찾아볼 필요가 없습니다.

4단계 WIX 에디터 요소추가 코드 삽입 HTML 삽입

WIX 계정에 로그인하고 WIX 에디터를 엽니다. 지도를 삽입할 페이지를 선택합니다. 왼쪽 패널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메뉴에서 HTML 코드를 선택하십시오. HTML 코드 위젯을 페이지의 요구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습니다. HTML 코드 위젯을 클릭하고 코드 편집을 선택합니다. 코드를 붙여넣고 업데이트 클릭하면, 지도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5단계 지도 소비자 지정 수정할 경우 코드 변경 선택하여 변경 가능 위치를 변경하고 모서리의 크기 조절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크기로 만들어 줍니다.

2단계에서 카카오맵으로 설정한 사이즈가 최대 사이즈입니다. 크기조정 버튼은 홈페이지 내에서 보여줄 크기를 정립하는 것 입니다.

이제 목적지로
이제 목적지로

이제 목적지로

목적지가 어떤 곳인지도 알았으니 이제 진짜 경로 소개를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을 먼저 해봅시다. 문단에 올린 2번째 사진에서 단축키에 대한 정리를 드렸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길 소개를 받으려면 푸른색 배경의 화살표 모양을 클릭해야 한다고 배웠어요내비로 안내하기. 해당 아이콘을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비슷하게 가장 위쪽부터 볼게요. 먼저 이동수단 선택입니다. 좌측부터 차례대로 자가용, 대중교통, 도보, 자전거 별로 안내 경로를 나타내 줍니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에는 본인의 현 위치와 목적지가 나오죠. 우리는 목적지를 먼저 찾은 후에 경로 소개를 눌렀으니 굳이 손대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바로 아래 시계 모양으로 보이는 아이콘은 운행시간 정보를 나타내 줍니다.

첫째 일반적인 정의로는 카카오맵에서 등록된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결국 다음 지도 서비스에서 매장 정보를 업체 관리자에게 제공받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플랫폼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앞서 정리했던 네이버 플레이스와 동일한 원리입니다. 카카오맵 매장관리로 접속하는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링크는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의 기초 정의에 대한 저의 글입니다. 일반적인 골격은 같아 카카오맵 매장관리를 하시려는 분들께서는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에 관한 글들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카카오맵에서 제공되는 업체의 정보는 카카오의 여러 서비스와 같이 연계가 됩니다. 특히 T map 다음으로 카카오 내비게이션이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서 주소지에 대한 리뷰와 안내는 카카오맵 매장관리에 등록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것만 알아도 끝 단축키 사용법
이것만 알아도 끝 단축키 사용법

이것만 알아도 끝 단축키 사용법

가장 위쪽부터 볼까요? 우측 상단에 아이콘 2개가 수직으로 위치해 있는데, 위쪽 아이콘이 로드뷰 보기, 아래쪽 아이콘이 지도 설정입니다. 로드뷰는 현장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긴 곳인지 사진으로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로드뷰를 확인하시면 해당 장소가 여러분의 목적지가 맞는지 한 번 더 확인할 수도 있어요. 괜찮은 기능이죠? 지도 설정에서는 지도를 보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지도 내 CCTV 및 버스 정류장 등 보조적인 소개를 표시해주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단에 보이는 1부터 4까지 표시해놓은 번호에 관하여 설명드릴게요. 해당 목적지가 갑자기 너무 멀게 느껴져 본인의 현재 위치를 찾고 싶다면 현 위치 화살표로 표시해놓은 곳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6단계 지도 미리보기 및 게시

요구하는 대로 지도를 소비자 정의한 후에는 미리 보고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장소를 더 세밀히 알고

3번째 사진을 보시면 제가 쓸어 높여서 장소 세밀히 보기라고 표시해뒀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목적지로

목적지가 어떤 곳인지도 알았으니 이제 진짜 경로 소개를 받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것만 알아도 끝 단축키

가장 위쪽부터 볼까요? 우측 상단에 아이콘 2개가 수직으로 위치해 있는데, 위쪽 아이콘이 로드뷰 보기, 아래쪽 아이콘이 지도 설정입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